[카토커] '역대 최다관중' 국민스포츠 재확인 KBO리그, 천만 도전 앞서 되새겨야 할 책무[SC초점]
맛돌이김선생
0
59
08.19 11:44
18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KIA와 LG의 경기, 경기장을 찾은 관중들이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KBO 리그는 이날 누적 관중 840만7887명을 기록, 2017년 세운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넘어서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한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웠다. 잠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24.08.18/18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KIA와 LG의 경기, 경기장을 찾은 관중들이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KBO 리그는 이날 누적 관중 840만7887명을 기록, 2017년 세운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넘어서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한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웠다. 잠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24.08.18/18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KIA와 LG의 경기, 경기장을 찾은 관중들이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KBO 리그는 이날 누적 관중 840만7887명을 기록, 2017년 세운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넘어서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한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웠다. 잠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24.08.18/[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명실상부한 '국민 스포츠'임을 재확인했다. 그만큼 짊어진 책무의 무게도 더해졌다.
프로야구가 한국 프로스포츠사에 신기원을 열었다. 18일 전국 5개 구장에서 펼쳐진 경기에서 누적관중 847만5664명을 기록, 종전 최다 기록(2017년 840만688명)을 넘어섰다. 2017년 페넌트레이스 종료 시점인 720경기째에 기록을 달성했으나, 이번엔 전체 시즌 일정 80% 소화 시점인 573경기 만에 신기록이 세워졌다.
모두가 놀랄 만한 흥행 태풍이다.
18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SSG와 한화의 경기. 한 시즌 역대 최다 관중 신기록을 달성한 18일 많은 야구팬들이 경기장을 찾아 응원을 펼치고 있다. 인천=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4.08.18/시즌 개막 후 보름 안팎의 간격으로 100만 관중 돌파 관문을 넘었다.
시즌 개막 한 달 이후 열기가 수그러드는 예년과 달리, 꾸준히 열기가 이어졌다. 1위팀 승률이 6할을 밑도는 반면, 최하위팀도 4할 중반 승률을 기록할 정도로 유례 없이 흥미로운 순위 싸움이 팬들을 야구장으로 불러모았다.
프로야구가 MZ세대 사이에 새로운 '놀이문화'로 자리잡은 점도 크게 작용했다. 워터파크, 놀이공원보다 시간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경기 시간 내 볼거리, 놀거리, 먹을거리가 풍성한 야구장은 '가성비 놀이터'로 손색이 없다. 이런 고객 유치를 위해 백방으로 뛴 각 구단의 마케팅 노력도 역대 최다 관중 달성의 숨은 원동력.
이제 프로야구는 전인미답의 '한 시즌 천만 관중'의 역사에 도전한다. 70경기 안팎으로 100만 관문을 넘어온 그동안의 페이스, 최근의 순위 경쟁이 그대로 이어진다면 남은 정규시즌 내에 천만 관중의 역사를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삼성과 한화의 경기. 3경기 연속 만원관중 기록한 라이언즈파크. 대구=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4.06.02/하지만 마냥 단꿈에 젖을 순 없는 프로야구다.
잊을만 하면 반복되는 사건사고는 프로야구 흥행에 언제든 찬물을 끼얹을 만한 시한폭탄. 각 구단이 틈날 때마다 윤리 교육을 펼치고 내부적으로 자성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일탈'이 끊이지 않는다.
선수 이전에 사회인인 이들의 사생활까지 간섭할 수 있느냐는 반론도 존재하지만, 최고의 자리에서 대중에게 최고의 실력과 품위를 보여야 하는 프로의 책무를 떠올려 본다면 철저한 자기 관리 노력은 결코 빠질 수 없다.
한화 이글스가 2일 KIA 타이거즈전서 37번째 매진을 기록해 한시즌 최다 매진 신기록을 세웠다. 사진제공=한화 이글스팬 서비스의 질 향상도 필요하다.
성업 중인 광주, 대구, 창원과 내년에 문을 열 대전까지 메이저리그식 구장들로 관람 환경이나 팬 서비스 질이 크게 향상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최대 시장인 잠실, 부산은 노후 구장 문제로 품질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잠실은 돔구장 청사진이 구체화되면서 미래를 바라볼 수 있지만, '제2도시', '구도'를 자처하는 부산 사직구장 리모델링 논의는 진척이 없다. 성적, 마케팅, 전통에 기반한 흥행 몰이는 언제든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
국제대회 반등은 마지막 퍼즐이다.
도쿄올림픽과 WBC(월드베이스볼클래식)를 통해 한국야구의 냉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야구 인기와 달리 기초체력은 여전히 약하다는 점을 재확인 했다. '숙적' 일본과의 격차는 크게 벌어진 지 오래고, 한 수 아래 정도로 여겼던 호주, 대만과의 승부에서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현실. 오는 11월 대만에서 펼쳐질 프리미어12 예선 라운드에서 일본, 호주, 대만과 모조리 맞붙는 류중일호가 또 다시 부진을 반복한다면 KBO리그는 또 다시 '우물 안 개구리' 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기아챔피언스필드가 개장 이후 최다인 4경기 연속 매진을 기록했다. 사진제공=KIA 타이거즈흥행 돌풍을 계기로 늘어난 관중은 언제든 떠날 수 있다.
현재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에 대비하는 부단한 노력이야말로 KBO리그가 지속가능한 국민 스포츠로서의 인기를 이어가기 위한 길이다.
프로야구가 한국 프로스포츠사에 신기원을 열었다. 18일 전국 5개 구장에서 펼쳐진 경기에서 누적관중 847만5664명을 기록, 종전 최다 기록(2017년 840만688명)을 넘어섰다. 2017년 페넌트레이스 종료 시점인 720경기째에 기록을 달성했으나, 이번엔 전체 시즌 일정 80% 소화 시점인 573경기 만에 신기록이 세워졌다.
모두가 놀랄 만한 흥행 태풍이다.
18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SSG와 한화의 경기. 한 시즌 역대 최다 관중 신기록을 달성한 18일 많은 야구팬들이 경기장을 찾아 응원을 펼치고 있다. 인천=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4.08.18/시즌 개막 후 보름 안팎의 간격으로 100만 관중 돌파 관문을 넘었다.
시즌 개막 한 달 이후 열기가 수그러드는 예년과 달리, 꾸준히 열기가 이어졌다. 1위팀 승률이 6할을 밑도는 반면, 최하위팀도 4할 중반 승률을 기록할 정도로 유례 없이 흥미로운 순위 싸움이 팬들을 야구장으로 불러모았다.
프로야구가 MZ세대 사이에 새로운 '놀이문화'로 자리잡은 점도 크게 작용했다. 워터파크, 놀이공원보다 시간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경기 시간 내 볼거리, 놀거리, 먹을거리가 풍성한 야구장은 '가성비 놀이터'로 손색이 없다. 이런 고객 유치를 위해 백방으로 뛴 각 구단의 마케팅 노력도 역대 최다 관중 달성의 숨은 원동력.
이제 프로야구는 전인미답의 '한 시즌 천만 관중'의 역사에 도전한다. 70경기 안팎으로 100만 관문을 넘어온 그동안의 페이스, 최근의 순위 경쟁이 그대로 이어진다면 남은 정규시즌 내에 천만 관중의 역사를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삼성과 한화의 경기. 3경기 연속 만원관중 기록한 라이언즈파크. 대구=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4.06.02/하지만 마냥 단꿈에 젖을 순 없는 프로야구다.
잊을만 하면 반복되는 사건사고는 프로야구 흥행에 언제든 찬물을 끼얹을 만한 시한폭탄. 각 구단이 틈날 때마다 윤리 교육을 펼치고 내부적으로 자성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일탈'이 끊이지 않는다.
선수 이전에 사회인인 이들의 사생활까지 간섭할 수 있느냐는 반론도 존재하지만, 최고의 자리에서 대중에게 최고의 실력과 품위를 보여야 하는 프로의 책무를 떠올려 본다면 철저한 자기 관리 노력은 결코 빠질 수 없다.
한화 이글스가 2일 KIA 타이거즈전서 37번째 매진을 기록해 한시즌 최다 매진 신기록을 세웠다. 사진제공=한화 이글스팬 서비스의 질 향상도 필요하다.
성업 중인 광주, 대구, 창원과 내년에 문을 열 대전까지 메이저리그식 구장들로 관람 환경이나 팬 서비스 질이 크게 향상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최대 시장인 잠실, 부산은 노후 구장 문제로 품질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잠실은 돔구장 청사진이 구체화되면서 미래를 바라볼 수 있지만, '제2도시', '구도'를 자처하는 부산 사직구장 리모델링 논의는 진척이 없다. 성적, 마케팅, 전통에 기반한 흥행 몰이는 언제든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
국제대회 반등은 마지막 퍼즐이다.
도쿄올림픽과 WBC(월드베이스볼클래식)를 통해 한국야구의 냉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야구 인기와 달리 기초체력은 여전히 약하다는 점을 재확인 했다. '숙적' 일본과의 격차는 크게 벌어진 지 오래고, 한 수 아래 정도로 여겼던 호주, 대만과의 승부에서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현실. 오는 11월 대만에서 펼쳐질 프리미어12 예선 라운드에서 일본, 호주, 대만과 모조리 맞붙는 류중일호가 또 다시 부진을 반복한다면 KBO리그는 또 다시 '우물 안 개구리' 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기아챔피언스필드가 개장 이후 최다인 4경기 연속 매진을 기록했다. 사진제공=KIA 타이거즈흥행 돌풍을 계기로 늘어난 관중은 언제든 떠날 수 있다.
현재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에 대비하는 부단한 노력이야말로 KBO리그가 지속가능한 국민 스포츠로서의 인기를 이어가기 위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