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경이 건재한 흥국생명의 파죽지세냐, 부상으로 허덕이는 정관장의 반격이냐.
여자프로배구 흥국생명과 정관장은 2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도드람 2024∼2025시즌 V리그 챔피언결정전(5전3선승제) 2차전에서 격돌한다.
흥국생명은 1차전에서 정관장에 완승했다.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챔프전 1차전 승리 팀의 우승 확률은 55.5%(18회 중 10회)에 불과하다. 2차전을 잡으면 확률은 더 높아진다. 챔프전 1, 2차전 승리 팀의 우승확률은 85.7%(7회 중 6회)이다. 확률에 불과하지만 상당히 유리해진다.
기세는 흥국생명 편이다. 챔프전을 마치면 은퇴하는 김연경은 1차전에서 60.87%의 무서운 공격성공률을 자랑하며 맹활약했다. 무릎 통증을 안고도 강력한 스파이크를 앞세워 해결사 역할을 했다. 이날 김연경의 공격점유율은 23.71%로 투트쿠와 정윤주보다 낮았지만 최다 득점으로 승리를 책임졌다.
김연경과 투트쿠, 정윤주 삼각편대 날아오르며 1차전에서 45점을 합작했다. 정관장의 범실로 얻은 점수를 제외한 팀 득점의 60점 중 72%에 달할 정도로 높은 비율을 자랑했다. 원 포인트 서버로 나서 서브 에이스까지 터뜨린 최은지와 박수연의 활약까지 더해지면서 흥국생명은 쉽게 빈틈을 내주지 않았다.
이번에야말로 아쉬움을 지운다. 흥국생명은 지난 두 시즌 연속으로 챔프전에 오르고도 번번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8~2019시즌 이후 6시즌 만에 통합우승을 달성해 김연경의 라스트 댄스를 장식하겠다는 각오다.
 |
|
 |
|
정관장의 어깨는 무겁다. 플레이오프(PO)에서 현대건설과 세 경기를 모두 치르고 불과 하루 휴식을 취한 뒤 챔프전 1차전까지 나서 체력적으로 한계에 도달했다.
설상가상으로 선수들은 부상을 안고 뛰고 있다. 정규리그 막판 발목을 다친 부키리치와 박은진은 완전하게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스트시즌을 소화하고 있다. 특히 부키리치는 완전하게 점프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염혜선은 무릎 통증으로 PO 2차전에 결장했다가 돌아왔다. 노란은 허리 통증으로 챔프전 1차전에 결장했다. 고희진 정관장 감독이 “선수들 모두 부상 투혼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할 정도로 좋지 않다.
대체 자원은 없다. 기존 선수들로 최대한 묘수를 짜내야 한다. 일단 1차전에서 36.84%에 불과했던 팀 공격성공률을 끌어올려야 한다.
부키리치, 메가의 쌍포가 나서야 한다. 다행히 부키리치가 부상 속에서도 1차전에서 공격성공률 42.86%를 기록하며 팀 내 최다인 17득점을 기록했다. 메가의 부활은 필요하다. 1차전에서 13득점과 공격성공률 32.26%에 그쳤다. 쌍포의 한 쪽만 힘을 잃어도 정관장의 승리는 장담할 수 없다.
정호영도 힘을 더 내줘야 한다. 1차전에서 블로킹 4개를 기록했지만 공격성공률이 20%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