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이유를 모릅니다" 광주FC도 모르는 이정효 퇴장 이유...'깜깜이 판정 시스템' 도마 위

K리그1 6라운드 광주FC와 대전하나시티즌의 경기에서 이정효 감독에게 내려진 '다이렉트 레드카드' 판정이 경기 종료 후에도 여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구단도, 팬도, 언론도 퇴장 사유를 알 수 없는 이 상황은 K리그 심판 운영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해당 판정은 지난달 29일 대전하나시티는과 광주FC의 경기(1-1 무승부) 후반 추가시간 3분경 발생했다. 중계 화면에는 퇴장 사유가 명확히 포착되지 않았고, 현장 관계자들의 설명에 따르면 이정효 감독이 벤치 쪽으로 물병을 걷어찼다는 이유로 대기심의 제보 후 주심이 퇴장을 선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제축구연맹(FIFA)과 대한축구협회(KFA) 경기 규정상, 이 같은 행동은 원칙적으로 '경고'에 해당한다. 퇴장은 과도한 처벌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광주FC 관계자는 1일 OSEN과의 통화를 통해 광주 구단 측도 이정효 감독의 정확한 퇴장 사유를 전달받지 못했다고 하소연했다.
광주 관계자는 "기록 상에는 '퇴장'이라고만 적혀 있다. 경기 이후 (대한축구)협회에 연락을 시도했지만 연락이 잘 닿지 않는다"라며 "구단 입장에서도 왜 퇴장이 나왔는지 알고 싶다. 하지만 경기 기록서에는 사유가 따로 기재되지 않는다는 설명을 들었다"라고 전했다.
이에 OSEN은 한국프로축구연맹과도 연락을 시도했다. 연맹 관계자는 "경기 기록지에는 선수의 경고 및 퇴장 여부만 기재되며, 코칭스태프 관련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내부 전산 시스템을 통해 코칭스태프의 경고 또는 퇴장 사실은 확인할 수 있지만, 그 사유는 표기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즉, 현재 K리그의 공식 시스템 내에서는 감독이나 코치가 왜 퇴장을 당했는지를 경기 후 알 수 있는 구조가 마련돼 있지 않다. 선수의 경우에도 퇴장 사유가 구체적으로 기록되지 않는다는 점은 팬들과 미디어의 알 권리를 침해한다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퇴장 사유에 대해 공식적으로 질문할 수도 없는 구조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K리그 구단이나 관계자가 심판 판정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거나 비판하면 징계를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정관 제6장에는 '심판 권위 부정 행위'에 대한 출장 정지 및 벌금 조항이 명시돼 있다.
이 때문에 광주 역시 입장을 낼 수 없다는 반응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이정효 감독이 억울함을 느끼더라도 이를 해소할 방법이 없고, 구단도 이를 공식적으로 해명하거나 소통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 감독의 퇴장을 넘어, K리그 심판 운영 전반의 비투명성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심판 운영 주체가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대한축구협회로 이관된 이후, 외부와의 소통이 급격히 줄었다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처럼 퇴장 사유조차 공유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의심과 불신이 자라날 수밖에 없다. 팬들은 "감독 길들이기 아니냐"는, 다소 과한 추측까지 내놓고 있으며, 광주 팬들 역시 앞선 경기에서의 항의가 이번 퇴장으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의심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프로 스포츠는 팬과의 신뢰 위에서 운영된다. 만일 심판 판정이 오해를 낳았다면, 최소한 그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하고, 잘못된 규정은 개정되어야 한다. 퇴장의 정당성 여부를 떠나, 이유조차 밝히지 않는 현재의 시스템은 시대에 맞지 않는 운영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광주와 이정효 감독의 사례는 K리그가 투명하고 소통하는 리그로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개선해야 할 '현실적인 과제'를 다시 한번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