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통수 맞은 게 어디 한두번이던가…‘컴백홈’ 창원시 압박에도 NC가 주저하는 이유

뒤통수 맞은 게 어디 한두번이던가…‘컴백홈’ 창원시 압박에도 NC가 주저하는 이유

게임왕 0 2

창원NC파크 모습. 연합뉴스

“시설물 보완·안전점검 완료”
시장 대행 브리핑에도 미적지근한 NC
창단때부터 불편한 관계, 사고 이후 최악으로
“직접 경기장 상태 확인하고 복귀 시기 결정할것”

창원시가 전방위적으로 NC의 ‘귀향’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NC는 여전히 신중한 태도다. 안전 문제가 확실히 해결되었다는 걸 직접 확인한 후 논의를 거쳐 창원NC파크로 돌아갈 시기를 조율하겠다는 계획이다. 안전 문제뿐 아니다. 창단 과정부터 지금까지 구단과 시 사이 불편했던 관계가 수면 위로 떠 올랐다. 곪아있던 상처가 구조물 추락 사망 사고를 계기로 크게 터져버렸다.

창원시는 지난 19일 사고가 난 창원NC파크에서 현장 브리핑을 열고 재개장을 위한 시설물 보완과 안전 점검을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장금용 시장 권한대행이 직접 발표했다. 장 권한대행은 부착물 고장 상태 불량 등 국토교통부가 지적한 9가지 항목 모두 보완 조처를 마쳤다고 밝혔다. 조속한 경기 재개를 위해 KBO, NC 등과 지속해서 협의를 진행하겠다고도 했다.

그러나 NC는 아직 구체적인 복귀 일정을 잡지 않았다. 20~22일 한화 3연전은 예정대로 울산 문수구장에서 치른다. 그 다음 홈 3연전은 오는 30일부터 시작한다. 역시 한화가 상대다. 이르면 이때부터 창원에서 경기를 치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NC는 말을 아끼는 중이다. 창원시 발표와 별개로 구단이 직접 경기장 상태를 확인하고, 내부 논의를 거쳐 복귀 일정을 잡겠다는 것이다.

사고 이후 지난 한 달여간 창원시는 소극적이고 미온적인 대처로 일관해왔다. 사고조사위원회 구성에 3주가 걸렸고, 사고 원인이 된 루버를 모두 떼내는 결정까지 한 달이 걸렸다. 안전 점검 결과도 부실했다. 국토부는 창원시의 점검 결과 보고서가 미흡하다며 2차례 추가 보완을 요청했다. 창원NC파크 재개장은 그만큼 늦어졌고 NC는 임시 대체 홈구장을 찾아야 했다.

신뢰 문제를 배제할 수 없다. NC는 2011년 창단 과정부터 지금까지 창원시와의 관계를 파행의 연속으로 기억하고 있다. 구단 유치 과정에서 창원시는 구장 사용료 면제를 조건부로 내걸었지만 막상 유치가 확정되자 태도를 바꿨다. NC는 구장 사용료 330억원을 냈다. 구장 명칭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불협화음이 계속됐다.

불편한 관계는 이후로도 이어졌고 사고 이후 최악으로 치달았다. 지금도 합동조사반 내에서 실무적인 논의는 이어지고 있지만, 시 차원의 유감 표명이나 책임 인정은 없었다. 대신 NC의 복귀를 촉구 혹은 압박하는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창원시의회 한 의원은 ‘다이노스컴백홈’으로 7행시를 지어 발표하기도 했다. 해당 의원은 7행시에서 “타 지역 임시 구장 운영이라는 상황에 지역 팬과 시민의 마음은 타들어 가고 있다”고 했다.

NC는 재개장 이전에 구조물 추락 사고 원인과 이후 대처 등 전반의 과정을 철저하게 되짚어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구단 한 고위 관계자는 20일 통화에서 “구장 재개장이 문제가 아니라 그 이후에 창원시가 과연 연고 도시로 책임감을 보여줄 수 있을지가 문제다. 구단이 창원시를 믿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 앞으로 짚을 것은 짚어 가겠다”고 말했다.

Comments

0 Comments
패널분석

스파이크몬스터
198승96패

Swanson
0승0패

픽뭉치
69승19패

FREDDY
0승0패

라볼피아나
88승29패

픽몬스터
36승11패

라멜로볼
80승45패

로키
32승13패

Datagirl
0승0패
펼치기 팀순위
펼치기 회원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