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6개 암 발병 위험과 연관" 국내 연구…"과장된 분석" 지적도

코로나19 백신이 특정 암의 발병 위험과 연관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외 일부 전문가들은 "과장된 분석"이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경인지방병무청·이화여대 목동병원 공동 연구진은 국제 유명 학술지 'Biomarker Research'를 통해 이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약 840만 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백신 접종 여부에 따라 참여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고, 다변량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이용해 전반적인 암 발생 위험을 추정했다.
분석 결과, 접종 1년 후 전립선암은 발병 위험이 68% 증가했다.
또한 갑상선암(35%), 위암(34%), 폐암(53%), 유방암(20%), 대장암(28%)도 위험도가 올라갔다.
연령별로는 65세 미만의 비교적 젊은 층은 갑상선암과 유방암에 더 취약했으며, 75세 이상의 고령층은 전립선암에 더 취약했다.
남성은 위암과 폐암, 여성은 갑상선암과 대장암의 위험성이 더 높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또한 mRNA 백신(화이자, 모더나)은 갑상선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과 관련이 있으며, cDNA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드존슨)은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폐암, 전립선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교차접종의 경우엔 갑상선암과 유방암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백신이 암 위험을 높이는 구체적인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제시되지 않았다